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

전통 혼례 절차 폐백음식 대추고임과 육포 편포 전통 혼례에서 빠지지 않고 꼭 포함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폐백음식입니다. 그리고 그 폐백음식에 포함된 음식 중 하나가 바로 대추고임과 육포입니다. 혼례 후에 폐백하는 과정에서 차려지는 대추고임 육표 편포 어포 등에 대해 알아보자. 폐백음식 대추고임 혼례를 치른 후 신부는 시부모와 시댁 친지들에게 첫인사를 드리는 예의를 폐백이라 합니다. 폐백식은 서울 중부지방에서도 남쪽지방에서도 지역이나 가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편포나 육포, 대추고임, 술 등의 음식들이 준비됩니다. 특히 대추고임은 신부가 시아버지께 드리는 음식으로, 폐백식에서 빠지지 않는 중요한 음식 중 하나입니다. 대추고임은 신부가 시아버지께 드리는 음식으로, 이 음식은 다산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폐백식이 진행.. 2023. 8. 5.
전통혼례 근친 및 재행 절차 전통혼례 의식의 하나로 결혼한 신랑과 신부가 다시 신부의 집에 방문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그 절차의 하나인 신랑 다루기와 문안 인사 드리기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친 및 재행 절차 혼인 후 처음으로 신부가 혼인한 친정에 가게 되면, 처가에서는 종종 처남이나 친척들이 신부를 데리러 가서 함께 갑니다. 방문하는 시기는 가까운 경우에는 신행한 지 3일 만에 가기도 하고, 홀수의 날이나 달에 가야 한다고 해서 5일, 7일, 9일에 가기도 하며, 또는 1개월, 3개월, 5개월 후에 가기도 하고, 때로는 해를 넘겨서 가기도 합니다. 이러한 방문은 혼인 후 처가와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자 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재행이라 불리는 가까운 날의 방문은 빈손으로 갈 수도 있습니다. 신랑과 신부가 간단한 선.. 2023. 8. 4.
현대 폐백 드리는 방법와 이바지음식 그리고 사당폐백 전통혼례의 폐백이 다양하고 복잡한 절차로 진행되었다면 현대 폐백은 상황에 맞도록 많은 절차가 간소화되었다. 현대 폐백 드리는 방법, 이바지음식 그리고 사당폐백에 대해 알아보자. 구고예지/ 현우존장례/ 궤우구고 온화한 햇살이 내리쬐는 아름다운 날, 신부가 시댁 어른을 뵙고 주변 가족들과 인사하는 시간이 찾아왔습니다. 시부모님께서 계시는 특별한 날이니 신부는 마음에 가득한 예의와 존경을 갖추어 만날 준비를 합니다. "궤우구고"의 순간, 신부는 새로운 며느리로서 처음으로 시부모님에게 음식을 차려드립니다. 집안을 누비며 화목한 가정을 이루기 위해 기도와 바램을 담아 신랑과 함께 준비한 음식과 술을 정성스럽게 차려놓습니다. 그리고 시부모님이 앉으시면 먼저 손을 씻고, 술잔에 술을 부어 시아버지 상에 내려놓고 기다.. 2023. 8. 3.
전통혼례 지역별 폐백음식 전라도 함경도 평안도 전통혼례에서 사용되는 폐백음식은 지역별로 다릅니다. 이번에는 전라도, 함경도, 평안도 그리고 개성지방의 폐백음식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라도지역 폐백음식 전라도 지역에서의 폐백음식과 관련하여 다양한 음식들과 그 준비 과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폐백음식은 한국 전통 결혼식에서 신부의 가족이 시아버지와 시어머니에게 예의를 갖추고 마음을 전달하기 위해 준비되는 음식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전라도 지역에서의 폐백음식 예시: 대추와 꿩폐백 청홍색 닭 한 쌍 약과 (찹쌀엿 또는 수수엿) 술 밤 오징어오림닭 종이닭 곶감오림 정과 김장식 등 엿 준비: 찹쌀엿 또는 수수엿을 사용하여 만듭니다. 닭 준비: 닭 한 쌍을 꿩 모양으로 만들고, 부리에 생대추를 물립니다. 율란 준비: 밤을 삶아 으깨서 꿀.. 2023. 8. 1.
전통혼례 지역별 폐백음식 서울 경기 강원지역 현구고례는 한국 전통 결혼 문화에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부모를 찾아가는 예비 시어머니와 시아버지를 견례하는 의례를 말합니다. 이는 결혼 전 예비 시어머니와 시아버지를 아뢰고, 결혼에 대한 의사를 전달하는 자리로서 예식이나 음식을 바치는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전통혼례 지역별 폐백음식 서울 경기 강원지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아버지에게 대추와 밤을 올리는 것은 부지런하고 조심스러운 마음으로 시집살이를 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대추와 밤은 고사하고 단단한 것으로서 신부의 결혼 생활이 단단하고 행복하길 바라는 뜻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시어머니에게 육포를 올리는 것은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먼저, 단수라는 표현은 한결같이 저며야 한다는 뜻으로, 신부가 시어머니와의 관계에서 항상 예의를.. 2023. 7. 31.
우귀의 의미 및 신행 절차 우귀 또는 신행은 대례를 마친 후 신랑이 신부를 신랑 집으로 데리고 가는 의식을 말합니다. 이러한 의식은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당일 우귀와 3일 우귀가 가장 흔한 양식입니다. 우귀의 의미 및 신행 절차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귀의 의미 당일우귀: 대례를 마친 당일에 바로 우귀를 실시하는 방식입니다. 신랑은 시가에 가서 조상에게 배례하고 폐백을 올리고, 신랑의 일가친척과 인사를 나눈 후 다시 신부집으로 돌아와서 신방을 차리는 지방이 있습니다. 그러나 당일우귀는 양가에서 번거로운 점이 많고 지역적으로 가까운 경우에 가능한 방식입니다. 3일 우귀: 대례를 마친 후 3일간 머물며 우귀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혼례 의식입니다. 이 경우 신랑은 대개 신부집에 머물며, 다음.. 2023. 7. 30.
전통혼례 각 지역의 방한례 절차 혼례식이 끝나면 다음 과정으로는 방한례가 진행됩니다. 각 지역마다 합방의 절차가 다르다고 합니다. 어떻게 다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대 벗기기 대례식이 끝나면 신랑과 신부는 같이 방으로 들어가서 처음으로 상견례를 합니다. 이때 신부는 족두리를 제치고 얼굴을 보이거나 사처로 나와 옷을 갈아입게 됩니다. 또는 신랑이 안방으로 들어가 신부집에서 준비한 옷으로 갈아입게 됩니다. 이를 관대 벗김, 관대 벗음, 신발 벗음, 개복시킴 등이라고 합니다. 이 상견례는 신랑과 신부가 혼인 후 처음으로 더 가깝게 마주하는 순간으로, 신랑과 신부가 서로의 집에서 처음으로 가족과 가까운 이들과 함께 마주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관대 벗김은 서로가 서로를 존중하고 새로운 가정을 형성함을 의미하며, 신부가 신랑에게 예복.. 2023. 7. 29.
전통혼례에 필요한 상의 종류 전통혼례식을 올리기 위해서 필요한 상차림이 있습니다. 큰상 차리기, 입맷상 차리기 그리고 요기상 차리기가 있습니다. 전통혼례에 필요한 상의 종류 즉 전통혼례 상차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큰상 차리기 한국 전통 결혼식인 혼례식은 부부가 함께 시작하는 새로운 삶을 기원하고 축하하는 의미로 많은 음식을 준비한 큰상이 가장 빼어나는 특징 중 하나입니다. 혼례가 끝나고 신랑과 신부를 축하하며 함께 먹는 이 음식은 한국의 예로부터 전해져 내려온 유서 깊은 관습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때 준비되는 음식은 다양한 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과정류, 병과류, 숙육편육, 건과류, 전류, 포류, 적류, 건어물류, 적류 등이 대표적입니다. 큰상은 원통형으로 고이며, 주빈이 앞에 앉아 먹을 수 있는 술안주와 장국상이 .. 2023. 7. 28.